1. LAN Attack
- LAN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는 공격에 한정하여 OSI 7 Layer 중 2 계층에서 이루어지는 공격
1) 주요 공격
- ARP를 이용한 MITM(Man In The Middle) 공격
: 통신하는 두 단말 사이에 중간자가 침입하여 양단의 통신을 도청하거나 조작
- STP(Spanning Tree Protocol) 공격
: STP를 이용하여 스위치의 연결 흐름을 제어하여 악의적인 목적의 스위치로의 연결을 전환 가능
- MAC Spoofing 공격
: 연결되어 있는 MAC주소를 변조하는 공격
- CAM(Control Addressable Memory) 테이블 오버플로우
: 저장된 테이블 수가 다량이면 정상적인 연결이 새로 들어올 경우 이미 잡혀있는 메모리의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상 연결이 불가하도록 하는 DOS유형의 공격
-DHCP Starvation 공격
: DHCP 서버에 DOS 공격을 수행하여 새로운 클라이언트가 IP를 자동으로 할당받지 않도록 하는 공격
2. ARP Spoofing 공격
1) ARP Spoofing
- LAN 환경에서 중간자 공격에 사용 되는 기술
2) ARP Spoofing 실습
1. 환경구성
공격자: kali linux(10.200.57.15), 피해 서버:centOS7(10.200.57.18), 피해 클라이언트: centOS6(10.200.57.17)
공격자가 위 명령어로 피해서버와 클라이언트에 ARP Spoofing 공격으로 MAC 주소를 변경한다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포워딩을 해준다
피해 클라이언트PC에선 ARP Spoofing 공격으로 인해 피해 서버와 공격자의 MAC 주소가 동일하게 보인다
피해 서버에서도 ARP Spoofing 공격으로 인해 피해 클라이언트와 공격자의 MAC주소가 동일하게 보인다
피해 클라이언트가 피해서버로 4000 포트를 통해 netcat 통신을 한다
피해서버에서도 4000 포트를 열고 netcat통신을 받아들인 후 test라는 문구를 입력하여 피해 클라이언트로 보낸다
공격자가 wireshark를 열어 4000포트로 통신한 패킷을 검색하여 아무거나 선택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 Follow->tcp stream을 클릭하면 오른쪽과 같이 피해 클라이언트와 피해 서버가 통신한 내용을 훔쳐볼 수 있다
'Network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Scanning Attack (0) | 2022.10.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