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함수정의 및 호출 (매개변수 여러개)

  • 함수를 정의할때 함수의 매개변수를 여러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함수를 호출할 때도 마찬가지로 정의한 매개변수만큼 똑같은 개수로 호출해야 합니다.

ex) def function (name, location)

           print(f"Hello {name}")

           print(f"waht is like in {location}?")

      function("red", "Seoul")

 

2. 함수정의 및 호출 (키워드인자)

  • 함수 호출시 인수의 이름을 지정하여 값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인자의 이름에 전달하고자 하는 값을 직접 지정하여 호출한다.
  • 함수 호출시 인자의 순서는 1순위로 순서에 의한 매칭이 완료되고 나서 키워드 인수 매칭이 되기 때문에 순서 지정에 신경써야 한다

 

1) 실습예제

Exercise)

test_h = int(input("Height of wall: "))
test_w = int(input("Width of wall: "))
coverage = 5
paint_calc(height=test_h, width=test_w, cover=coverage)

위 코드는 수정하지 않고 해당코드 위에 코드를 추가하여 페인트칠에 필요한 페인트통이 몇개 필요한지 알려주는 코드를 작성하세요

** 필요한 페인트통 계산법 = height*width/cover

 

Solution)

import math

def paint_calc(height, width, cover):
    paint = math.ceil(height * width / cover)
    print(f"You'll need a {paint} cans of paint")


test_h = int(input("Height of wall: "))
test_w = int(input("Width of wall: "))
coverage = 5
paint_calc(height=test_h, width=test_w, cover=coverage)

 

2) 실습예제

Exercise)

n = int(input("Check this number: "))
prime_checker(number=n)

위 코드는 수정하지 않고 해당코드 위에 코드를 추가하여 입력받은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판별해주는 코드를 작성하세요

** 소수 판별법: 예를들어 입력받은 수가 7이면 7은 1과 자기자신으로밖에 나누어지지않기 때문에 소수에 해당합니다.

 

Solution)

def prime_checker(number):
    is_prime = True
    for checker in range(2, number):
        if number % checker == 0:
            is_prime = False
    if is_prime:
        print("It's a prime number")
    else:
        print("It's not a prime number")


n = int(input("Check this number: "))
prime_checker(number=n)

'Python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Study(return)  (0) 2023.03.08
Python Study(딕셔너리)  (0) 2023.03.06
Python Study(반복문(While))  (0) 2023.02.18
Python Study(함수 정의 및 호출/들여쓰기)  (0) 2023.02.18
Python Study(반복문(for))  (0) 2023.02.05

+ Recent posts